안녕하세요, 스타일지기입니다.
2016년 가을에 출시 되었던 무선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 MDR-1000X는 노이즈 캔슬링 성능과 음질, 디자인 등에서 두루 호평을 받으며 큰 사랑을 받았는데요. 지난 9월 소니코리아는 MDR-1000X의 후속으로 플래그십 무선 헤드폰 WH-1000XM2를 비롯해 무선 넥밴드 이어폰 WI-1000X, 완전 무선 이어폰 WF-1000X로 이루어진 새로운 1000X 시리즈 3종을 국내에 출시하였습니다.
지난 시간, 1000X 시리즈 개발자 인터뷰 1부에서 WH-1000XM2 개발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를 알 수 있었는데요. 이번 시간, 1000X 시리즈 개발자 인터뷰 2부에서는 넥밴드 타입의 무선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WI-1000X의 흥미로운 개발스토리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WH-1000XM2와 동일한 성능의 노이즈 캔슬링을 실현한
무선 넥밴드 이어폰 WI-1000X
Q. 무선 넥밴드 이어폰 WI-1000X의 컨셉은 무엇인가요?
오오바: 처음엔 MDR-1000X에서 실현했던 업계 최고 수준의 노이즈 캔슬링 기술을 휴대성이 뛰어난 작은 크기의 제품에 적용하고 싶다는 생각이었습니다.
지역이나 국가에 따라 선호하는 타입이 다릅니다만, 일본의 경우 통근 중 헤드폰보다는 주로 이어폰으로 음악을 듣는 경향이 강합니다. 그 중에서도 30대 전후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었는데, 정장 차림에 오버 헤드타입 헤드폰을 착용하는 것은 다소 거리낌이 있다는 의견이 있었어요. 그래서 부담 없이 착용 가능한 인 이어 타입의 1000X 시리즈를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인 이어 타입에서도 WI-1000X는 넥밴드 타입입니다. 2016년 3월에 출시한 h.ear in Wireless(MDR-EX750BT)와 형태가 비슷한데, 넥밴드 타입은 음악을 듣지 않을 때에도 목에 걸고 있을 수 있다는 편리함 측면에서 호응을 얻었기 때문에 WI-1000X를 넥밴드 타입으로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Q. WI-1000X는 인 이어 타입인데도 불구하고 업계 최고 등급의 노이즈 캔슬링 성능을 실현했다고 들었습니다. 그 비결은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
토비세: 몇 가지 있습니다만, 우선 듀얼 노이즈 센서 기술을 채용했다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WI-1000X에는 노이즈 캔슬링을 위해 소음을 집음하는 마이크를 2기 탑재하고 있는데요. 피드백(FB)마이크는 드라이버와 고막의 사이의 소음을, 피드포워드(FF)마이크는 헤드폰 외부의 소음을 각각 집음하며, 디지털 노이즈 캔슬링 IC(집적회로: Integrated Circuit)를 통해 상쇄 신호를 내보내 소음을 감소 시키는 원리입니다. FB마이크로 외이도 내의 소음을 집음하여 줄이는 FB방식과 FF마이크로 외부 소음을 집음하여 줄이는 FF방식의 두 가지 방식을 조합하는 것으로 광대역의 높은 노이즈 캔슬링 성능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WI-1000X는 업계 최고의 노이즈 캔슬링 성능을 목표로 개발된 모델인 만큼 이러한 듀얼 노이즈 센서 기술의 채택은 필수적이었습니다.
공간이 좁은 인 이어 타입의 케이스 안에 마이크를 2기 배치하기 위해 무척이나 애를 썼는데요. 기구 설계 담당자와 협력하여 수차례 프로토 타입 케이스를 제작하여 테스트를 반복한 끝에 최대한의 노이즈 캔슬링 성능을 얻을 수 있는 구조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업계 최고의 노이즈 캔슬링 성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구조뿐만 아니라 전기회로를 포함한 시스템 전체의 설계가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개발팀 전체에서 꾸준히 의논을 하며 진행시켜야만 했습니다.
시노하라: 전기적인 부분에 대해 이야기 하자면, 강한 에너지를 가진 저역의 노이즈를 상쇄하기 위해서는 고출력의 앰프와 저지연 프로세서 등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MDR-1000X와 동일한 풀디지털 앰프 S-Master HX 앰프와 밸런스 출력, 디지털 노이즈 캔슬링 IC 시스템이 필수적이었습니다. 그 결과, S-Master HX를 통한 SN개선, 밸런스 출력에 의한 크로스 토크 및 노이즈 개선, 디지털 노이즈 캔슬링 IC의 초저지연 신호처리로 업계 최고 등급의 노이즈 캔슬링 성능이 실현될 수 있었습니다.
다만, MDR-1000X를 위해 개발한 시스템을 이만한 사이즈에 넣는다는 것은 힘든 일이었습니다. 기판 레이아웃과 패턴 설계를 완벽하게 완성하지 않으면, S-Master HX의 성능을 온전히 이끌어낼 수 없습니다. 그래서 첫 디자인을 제시한 뒤 MDR-1000X 개발 멤버와 디자이너, 기구 설계 담당자와 함께 기판 레이아웃 검토에 많은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또한, 음질과 노이즈 캔슬링 성능을 우선시하면서도 블루투스 안테나 성능도 보장해야만 했습니다. 개념 자체는 MDR-1000X와 크게 다르지 않지만, 실제로 완성된 기판은 전혀 새로운 것이었기 때문에 시행 착오 끝에 노이즈 캔슬링 성능과 안테나 성능을 모두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Q. WI-1000X는 XBA-N1과 같은 HD 하이브리드 드라이버 시스템을 사용한다고 들었습니다. 이미 고성능 이어폰이라는 것은 알겠지만,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토비세: 네, 맞습니다. WI-1000X는 XBA-N1, XBA-N3와 같은 9mm 다이나믹 드라이버와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를 결합한 HD 하이브리드 드라이버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는 XBA-N3, XBA-N1과 동일합니다만, 다이나믹 드라이버는 사이즈(9mm)만 같을 뿐, 다른 유닛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버스나 비행기의 소음은 저음역이 강하기 때문에 이러한 소음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저음역 감도가 높은 드라이버 유닛이 필요한데, 그래서 h.ear in NC(MDR-EX750NA)에 사용된 저음역 감도가 높은 9mm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을 선택했습니다. 그 결과 고성능 노이즈 캔슬링에 최적인 다이나믹 드라이버 유닛과 고음질의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가 합쳐진 호화로운 구성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탄생한 HD 하이브리드 드라이버 시스템은 고음질과 뛰어난 노이즈 캔슬링 성능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습니다.
Q. WI-1000X는 WH-1000XM2와 동일하게 고음질의 LDAC 코덱을 지원하고 DSEE HX도 탑재하여 무선으로도 고음질의 음악감상이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오오바: 안드로이드 8.0(Oreo)부터는 OS 자체적으로 LDAC 코덱을 지원하기 때문에 타사 제품을 포함해서 LDAC 코덱 지원 기기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aptX HD 코덱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점차적으로 블루투스 헤드폰이 늘고 있는 가운데, 유저가 사용하는 어떤 단말기와 연결을 하더라도 가장 뛰어난 음질의 코덱으로 재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시노하라: 고음질과 관련하여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WI-1000X에는 S-Master HX와 밸런스 출력 기술을 탑재했습니다. LDAC와 같은 고음질 코덱과 만났을 때 섬세한 해상감, 분위기, 선명한 음장을 살려서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는 점이 S-Master HX의 매력입니다. 또한, 밸런스 출력으로 채널 간의 크로스 토크가 없고, 노이즈의 영향은 감소하며, 보다 고음질로 재생이 가능합니다.
개발 당시에는 “넥밴드 부분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밸런스 출력을 포기하는 대신 기판의 크기를 줄이는 편이 어떠냐”는 의견도 있었습니다만, 절대 음질에 대해서 만큼은 양보할 수 없다는 생각으로 디자이너와의 논의 끝에 S-Master HX와 밸런스 출력 모두 탑재했습니다.
Q. WI-1000X를 만들면서 특별히 신경 썼던 부분이나 힘들었던 점이 있나요?
쿠마노: 목에 거는 넥밴드 부분은 되도록 가늘게 만들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 음질에 대해서 만큼은 절대 타협할 수 없었기 때문에 고음질과 편의성을 양립 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 끝에 지금의 형태가 나왔습니다.
이 과정에서 힘들었던 것은 스테인리스 소재를 사용한 것입니다. 측면에서 보면 3D곡선으로 되어있는데, 스테인리스를 이렇게 가공하는 일이 상당히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처음엔 실현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기구 설계 담당이 수 차례 스테인리스 가공을 시도한 끝에 실현해냈습니다.
야마모토: 처음엔 전체적으로 스테인리스를 사용하여 디자인 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그렇게 했더니 안테나 주변부의 수신 감도가 떨어졌습니다. 그래서 안테나 주변부는 감도가 떨어지지 않는 수지를 사용하여 이차 가공에 신경을 썼습니다.
또한, 넥밴드 타입이라 케이스를 작게 만들어야 합니다만, 동시에 고음질의 실현이 중요했기 때문에 MDR-1000X와 동일한 수준의 전기부품들을 넣어야만 했습니다. 그래서 기존 모델의 기판 레이아웃과 형태 등을 다시 검토하고 최대한 크기를 줄이는 것에 신경을 썼습니다.
쿠마노: 다이나믹 드라이버와 밸런스드 아마추어 드라이버, 그리고, 2기의 마이크가 있는 등 복잡한 구성인 이어폰 부분을 심플하고 질감을 살리는 디자인으로 정리해야 하는 게 꽤 힘들었습니다.
넥밴드의 하우징 부분은 부드러운 재질로 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부드러운 터치감과 함께 버튼과 몸체가 매끄럽게 이어지는 디자인을 실현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하우징의 슬릿을 따라 케이블을 수납할 수 있도록 만들었는데, 사용하기에 따라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할 수도 있죠. 이 부분은 디자인 단계에서부터 제안했던 아이디어입니다.
야마모토: 하우징 부분에 두 개의 드라이버 유닛을 탑재했다는 점은 XBA-N1이나 XBA-N3와 동일합니다만, WI-1000X는 추가적으로 2기의 마이크도 탑재되었습니다. 하지만, 마이크가 추가되었다고 해서 착용감을 희생해야 하는 것은 허용할 수 없기에 최대한 안정적이고 쾌적한 착용감을 실현할 수 있도록 노력했습니다.
지금까지 1000X 시리즈 개발자 인터뷰 2부를 함께 보셨습니다. 이토록 얇은 무선 넥밴드 이어폰WI-1000X에 세계 최고 수준의 노이즈 캔슬링 성능과 더불어 고음질을 실현하는 기술까지 담았다는 것이 무척이나 놀라운데요. 과연 WI-1000X 보다도 더 작은 완전 무선 이어폰 WF-1000X에는 또 얼마나 놀라운 이야기들이 담겨 있을지 벌써부터 궁금해집니다. 이어지는 1000X 시리즈 개발자 인터뷰 3부, WF-1000X 편을 기대해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스타일지기였습니다.